그 많던 문과생들은 어디로 갔을까?
게시글 주소: https://old.orbi.kr/00037893990
문이과 통합 소식으로 오랜만에 오르비 문과 떡밥이 살짝 핫해보이는 관계로
심심하기도 하니 문과의 진로 방향에 대해 서술해보기로 한다.
이 글로 문과 소속 예비대학생들이 자기 갈 길을 아는 이정표......
까진 아니더라도 얼추 청사진이라도 그리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추가적으로 좁은 식견의 필자는 모르는 정보도 많으니 틀린 내용이 있다면 양해바란다.
아, 참고로 필자는 문과다.
-----------------------------
기본적으로 자본주의 사회는 돈이 핵심이다. 근데, 돈을 버는 방법은 무엇일까?
"남들이 잘 못하는 (실용적인) 것"을 하면 된다.
그걸 쉽게 풀어 쓰면 '기술'이다.
이과, 특히 공대가 취업이 잘 되는 이유? '기술'이다.
애초에 졸업할 때 기사 자격증 하나씩은 따고 간다.
그럼 그게 다 "남들이 못하는거 저 하나 잘해요"의 반증이다.
문사철이 취업 안되는 과인 이유? 철학, 역사, 어문 남들 잘 못한다.
근데 왜 취업이 안되냐, 실용적이지 않아서.
"문과는 간판"이라는 상수가 요즘 취업시장에서 통용되지 않는 사실은,
학벌은 '기술'이 될 수 없고, 다만 '노력' 의 정도로만 작용하는구나라는 인식이 퍼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런고로, 문과생의 진로는 '기술'을 따느냐(대충 자격증/고시 류), 마느냐(취업)의 길로 갈린다.
그리하여 전자로는 크게
1-1) 로스쿨, 1-2) CPA 1-3) 노무사, 세무사, etc
2-1) 행시 및 공무원 2-2) 기타 고시류
후자로는 3-1) 마케팅, 광고, 홍보, 영업 3-2) 금융 3-3) HR(인사) 3-4) 컨설팅 및 기타 류가 있다.
1번의 경우 자기 사업을 꾸릴 수 있다는 것으로 2번과 따로 분류를 했다.
다 설명하긴 귀찮고 굵직하게만 하자면,
1. 로스쿨
학벌 간판이 무너져가고 있는 현 문과 상황에 유일하게 입장료를 받고 있다. 그런고로, 리트를 아무리 잘 봐도 혹은 학점을 아무리 높게 따도 수능만큼 급간을 뒤집기는 힘들고, 반대로 고학력은 보정치가 후하다. 따라서, 법조인을 희망하는 문과 지원자는 무조건 간판을 우선시해야하며, 부차적으로 학점을 잘받는 과를 생각해야한다.
또 그래서 그런지, SKY(경우에 따라선 서성한까지)에서 학점 4점대인 학생들은 한번쯤은 생각하는 진로이기도 하다. 참고로, 2021년 리트 지원자는 역대 최다(약 14000명)를 갱신했다.
검클빅(검사, 로클럭-판사, 빅펌-변호사)의 세가지 경로가 있으며, 아무래도 개업할 수 있다는 장점의 변호사를 많이 준비한다. (애초에 변호사 자격증을 따려고 가는 학교다).
2. CPA(회계사) 및 각종 고시류
로스쿨이랑 비슷한데, 다만 고시류 시험 답게 시험 망하면 말짱 도루묵이라는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성격을 띈다. 로스쿨이 인기 많은 것도, 변시 망해도 로스쿨 졸업생이란 타이틀-보험이 있으니 다행인데, 고시 낭인은 취업시장으로 눈을 돌려도 불이익으로 작용하기 때문.
CPA 등도 변호사와 같이 회계(기타)법인을 가거나, (연차가 쌓이면) 개인 사업을 한다. 참고로 이런 고시류 시험도 고학력 합격자가 많다. 뭐 머리가 좋아서.. 도 있겠고, 애초에 하위권 대학은 준비를 안하는 느낌이 많이 든다.
3. 취업
크게 마케팅, 인사, 금융로 나뉜다. 개인적인 분류이므로, 이견이 있을 수 있다. 그냥 참고만 하라는 말씀. 금융이 마지막인 이유는, 카르텔과 학벌이 공고하게 작동하는 곳이기 때문.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서울에 있다. 굳이 본사 놔두고 지사에서 마케팅을 할 이유는 없기 때문. 이과가 취업이 잘 되고, 문과가 힘든 이유도 여기에 한몫한다. 이과야 지방 공장으로 내려가도 굴릴 수 있어서 지방에서도 뽑지만, 문과는 서울 본사가 TO의 대부분이기 때문.
마케팅 직군은 쉽게 말해 회사를 홍보해주는 곳이다. 광고 (대행) 회사도 그렇고 아마 대부분 문과 사기업 취업은 이 쪽일 가능성이 크다. 그 중에서도 상경계를 선호하는 이유? 그나마 회사/경제 돌아가는걸 조금이라도 배우고 오니 덜 가르칠 수 있어서. 물론, 비상경도 충분히 갈 수 있다.
HR은 인사팀으로, 사 내 인력관리 전반을 신경쓰는 곳이다. 직원 연차 관리를 비롯해서, 복지, 입사 계획 뭐 그런걸 신경 쓰는 곳이다. 업무가 상당히 많은데(원래 사람 케어가 제일 힘들다), 그런거에 비해 사내 인식은 안좋은 편이 대부분이다. 원래 회사는 돈 굴리는 사업부서가 제일 잘 쳐준다. 뭐 이를테면, 신문사는 기자가 황족, 경영직이 홀대받는다. 보통 상경계(특히 경영)을 많이 뽑는걸로 알고 있는데, 관련 과목을 배우기도 하고, 학회도 하는 걸로 알고 있다.
금융계는 (비공식적으로) 학벌을 많이 보고, 또 그만큼 카르텔이 견고한 곳으로 알려져있다. 그만큼 많이 굴리고 많이 번다. 사내 분위기는 그렇다보니 아무래도 보수적인 편. 카더라지만 지인의 지인이 '자율복장의 날'에 진짜 자율복장을 하고 갔더니, 사내에 소문이 파다하게 퍼졌다는... 그리고 은행은 나름 영업직이다보니 안맞아서 힘들어 하는 경우도 봤다. 경제학과가 많이 간다.
요약 : 로스쿨 가려면 학벌 높게 따셈. 아니면 대충 (되도록이면 상경계 가서) 취준하셈. 취준할 땐 기술 습득을 염두하셈. 혹은 그냥 재수해서 의치한약 가셈.
0 XDK (+500)
-
500
-
6모 가보자구!
-
나 이런거처음이라 너무 떨려 무슨 말을 해야할까…
-
ㄲㅋㄲㅋㄱ
-
ㅋㅋ
-
어느순간이후 서로 욕박고 공부하는데 따라오기는 잘따라오고 성적도 오르는중임
-
국어 : 권규호 패스 수학 : 신승범 패스 영어 : 심우철 패스 탐구 : 백브라더스...
-
이제 하면 안되나
-
먼저 말편하게 하라고함 (난 계속 존대함) 얘가 개바쁘긴한데 선톡은안옴 근데 내가...
-
야 공부좀 해라 9
넵
-
모두 사탐런을 할 때 투투런을 해보는 건 어떨까?
-
나 통합사회 존나잘하는데
-
아직 아니구나
-
어떻게 해야할까요 4등급 확통러입니다 대성패스 구매 생각중인데 세젤쉬로 개념 잡는게 좋을까요?
-
여기도 경제처럼 영업하는 사람 vs 이미 데인 사람 구도인가..
-
요즘은 크포 심특이 11
한석원의 크리티컬 포인트 이창무쌤 심화특강이 아니라고?
-
일단 동성이고 나이 차이 3살임 내가 만만하게 생겼나 그래도 숙제나 시키는건 잘 해...
-
평가원 #~#
-
내 사문 공부법 8
개념 인강을 들음 윤성훈 업로드가 개느려서 최적 2026 압축개념으로 다시 리캡함...
-
반수반가면 1
재종컨 강사컨 따라가기도 힘들 듯..
-
사탐런-> 정법 3
정법이 숨은 꿀통임 특히 과탐 3등급이하는 강력추천
-
나대지 말고 나대지 말고
-
ㅈㄱㄴ
-
22수능 치고 오랜만에 다시 수능을 응시할까 고민중입니다. 제가 지금 수능 체제의...
-
뭐임..
-
사탐 불허 대학교 최하위과 VS 사탐 지원가능 대학교 상위과 나는 전자가 상관없다...
-
늦버기 3
왜케오래잤지
-
ㅇㅅㅇ. . .
-
아 공부 뭐하지 1
윤성훈은 오줌터는거마냥 강의를 찔끔찔끔 올려서 진도 나가고싶어도 못나가고 강기분은...
-
개가 물안준다고 음식안준다고 주인한테 욕이나 협박하면 안무섭겠어?
-
전에 영상들은 못 사나요..?
-
개념 인강 듣고 수능특강 푼 다음에 기출을 실모처럼 풀기 가능?? 자이스토리 이런거...
-
Wasd누르면서qe누르는게 부자연스러워졌어
-
뭔가 잘 씻고 옷 잘 빨아입고 해도 뭔가 묘하게 꼬질한 느낌이 안 사라지는 것 같음
-
이거 22개정으로 샀는데 원순열 빠진거빼곤 나머진 동일하죵?
-
용산으로 출발 4
-
같은 푸씨여서
-
정치와 법도 꽤 멋있는데 정법이라고 줄이니까 ㅈㄴ 간지남 약간 도술 이름 같기도 하고 그럼
-
러버 리틀 빗옵 키스 미 킬 미 다이
-
피아노 3
좋네요
-
라이브땜에 ㅇㅂ이나 이런데에 서바,강사컨이 너무 많이 풀려서 그런거도있을듯
-
밥 때 되면 엄마가 나물 반찬 가득에 찌개에 고기에 밥 주고… 설거지는 식기세척기가...
-
다녀보신분 제가 흡연자라 이번에 담배를 가져가고 싶은데 걸리면 퇴소더라구요 가져가면...
-
그건 바로 김준센세…...
-
쿨이 20일이고 별개로 할 때마다 15만덕 드는 줄ㅋㅋ 닉변을 안 해봐서
-
제가 국어가 5-6등급인데 매3비를 공부하려고 샀는데 이게 수능 평가원 기출들이...
-
화법만 봤을때
-
중앙vs경희 2
둘다 설캠 한표씩 부탁!
-
ㄹㅇ
1줄 요약 추!
고대 상경계는 사기업 취직은 나름 쉬운편에 속하나요?
보통 2~3시즌을 평균 준비기간으로 잡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케바케 사바사라 칼취뽀하는 분도 계시고, 또 그렇지 못한 분도 계십니다. 그도 그럴 것이, 요즘은 채용전환형 인턴이 점점 많아지는 추세라, 취업시장 자체가 좀 많이 불안정합니다.
연고대에서 준비하는 금융계는 어떤 회사들인가요?
지방은행(bnk부산은행 같은..)이나 농협은 준비안하나요?
(본인이 아니라 불확실) 준비합니다만, 지방생활이 디메릿이 있기 때문에 연고지가 있는 분들이 합니다. 농협은 잘 모르겠습니다.
고대정도면 지방은행은 쉽게 붙는편인가요? 그리고 지방할당제가 문과에서도 크게 체감하시나요?
찾아보니 이직을 우려해 지방은행 채용 시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정도로 나와있네요. 아마 쓰시는 분들도 적지 싶습니다.
지방할당제 경우는 사실 은행, 방송국과 같이 지사가 있는 곳 제외하고는 문과가 지방에 일자리를 얻게 될 경우가 적습니다.
아하 7급 지역인재? 그런것도 크게 체감 안되시는건가요..? (아니면 고대에선 7급을 많이 준비안하셔서 그럴수도 있구요) 아무튼 역시 문과는 학벌이군요ㄷㄷ
지역할당제 있는 공기업(NCS), 79급 준비하시는 분들은 아마 체감되실겁니다. 그리고 글을 다시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문과에서 로스쿨을 제외하고 학벌의 위상은 점점 무너지고 있습니다. 이미 공기업 등은 블라인드 채용 진행중이죠. 사기업은 (일부 보수적인 집단 제외하고) 학벌을 우선시하고 있지 않죠.
오랜만이네요 부삽님 ㅎㅎ
반갑습니다. 오랜만에 보는 닉네임이군요. 회계사 되신거 축하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