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다시는 틀릴 일 없는 문학 보기 문제 (2)
게시글 주소: https://old.orbi.kr/00043589293
칼럼 인덱스: [https://orbi.kr/00043624020]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 이어 문학 관련 칼럼 2편입니다.
이전 칼럼을 읽지 않으셨다면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 들어가며
지난 칼럼에서 22 수능 국어 문학 파트에서,
<보기>문제 3개를 설명 드렸습니다.
흐름 상 비슷한 이야기이지만, 보셨다시피 문제마다 제가 덧붙이는 말들이 다릅니다.
저는 그냥 제 생각을 쓰지만, 그 내용이 본인의 약점 보완을 도와줄 가능성도 높습니다.
남은 2개의 문제를 설명하고, 늘 그렇듯 그 너머의 이야기들도 해보려 합니다.
II. 정말 <보기> 문제가 가장 쉬울까? 2편
#2022학년도 수능
(1) 31번 - 박태보전
작자 미상의 작품입니다.
이 문제는 완전히 큰 틀에서의 내용 일치를 물어봤기 때문에,
오히려 너무 간단해서 "아니 진짜 이렇게 풀면 끝인 건가?" 싶은 학생도 있었을 겁니다.
그게 맞습니다. <보기>문제는 원래 쉽습니다.
문제를 보겠습니다.
19번의 정답은 5번이었습니다.
이 쯤 되면 눈치채시겠지만, <보기> 문제는 선지의 후반부를 먼저 봐야 합니다.
아직까지 완성이 되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큰 차이는 없겠으나,
어느 정도 본인의 풀이에 확신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효과적일 겁니다.
5번부터 역순으로 보는 훈련을 하세요.
이 선지는 <보기> 문제이지만, '편집자적 논평'이라는 문학 개념을 같이 넣었습니다.
서술자의 개입 = 편집자적 논평,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기본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이 정도 설명 드리고 지문으로 가겠습니다.
편집자적 논평은 아주 잘 드러나 있죠.
그런데, 지금 무슨 상황이었나요?
박태보는 임금의 잘못된 점에 대해 간언하는 충신입니다.
하지만 임금은 그 말을 절대 듣지 않죠.
오히려 감히 왕에게 반기를 들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합니다.
여기서 또 '배경지식'의 힘이 나오는데, 아마 박태보전은 워낙 유명해서 다 알지도 모르겠습니다.
박태보는 1689년 기사환국 때 인현왕후 폐위를 반대하다 생을 마감합니다.
연도는 안 찾아봤지만 맞을 겁니다. '권리장전 승인', '네르친스크 조약 체결'의 연도니까요.
연도는 뭐 세계사의 직업병이라 치고,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면 얻어가는 게 많습니다.
적어도 당황하지는 않을 테니 그것만으로 충분합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박태보는 결국 임금의 잘못된 점을 고치지 못한 채 생을 마감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편집자적 논평은 박태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선지를 다시 보겠습니다.
분명히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었는데, 어떻게 기우는 국운을 회복했을까요?
애초에 포인트는 국운 같은 게 아니었습니다.
제가 이전 칼럼에 말씀드렸던 습관을 기른 학생이라면 뭐라고 대답할까요?
"국운을 회복하는지는 제시되지도 않았고,
그 전에 박태보는 뜻을 이루지 못했으니 무언가를 회복했다는 '긍정적 뉘앙스'부터 틀렸어요."
라고 하겠죠.
큰 틀에서의 내용 일치는 어이없을 정도로 쉽습니다.
긍정 / 부정만 짚어도 풀리는 문제가 굉장히 많습니다.
(1) 34번 - 탄궁가
정훈의 작품입니다.
아마 마지막 지문은 다들 수월하게 푸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번 문제는 과해석을 설명하기에 상당히 좋습니다.
34번의 정답은 3번이었는데, 선지 자체는 굉장히 매력적입니다.
사대부라 할지라도 가난하면 사회적 책임을 다 할 수 없겠죠.
지문으로 가겠습니다.
탄궁가라는 제목답게, 가난을 한탄하고 있습니다.
제사를 치르고 손님을 맞이하기엔 너무나 가난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어려운 일이 많다고 한탄하고 있네요.
.
.
끝이네요?
선지를 다시 보겠습니다.
'사회적 책임을 내려놓는', '향촌 사대부의 죄책감'
그냥 가난하다고 한탄했을 뿐인데, 책임을 내려놓고 죄책감을 느낀다니,
이건 '너무 간 거' 아닌가요?
'가난하니까 뭔가를 포기해야만 한다'라는 생각이 들도록 '낚시'하는 선지였습니다.
'과해석' 이라는 말이 와 닿으시나요?
아마 이제는 <보기>문제가 두렵지 않으실 겁니다.
III. 마치며
여기까지 해서 문학 <보기> 문제 칼럼을 끝입니다.
이걸 보는 것만으로도 시간 단축에 큰 도움이 되실 거라고 확신합니다.
아마 이런 생각을 하실지 모릅니다.
'저렇게 자신 있게 풀었다가 틀리면 어떡하지?'
나는 분명 과해석이라고 생각했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거나,
내용일치를 잘못 짚어낼 수도 있을 겁니다.
겁 먹을 필요 없습니다. 그렇게 해서 틀리면, 그냥 틀리시면 됩니다.
그러라고 기출과 N제, 수많은 실모들이 있는 거 아닌가요?
틀리고 또 틀리고, 화가 나는 그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알게 됩니다.
어디까지가 '과해석'이고, 내용 일치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말이죠.
다시 한 번 강조 드리지만, 평상시에 문제 풀고 나서 <보기>의 내용을 꼭 복습하셔야 합니다.
<보기>에 나오는 주제들도 칼럼으로 정리해서 올릴 텐데, 미리 다 알고 가야 합니다.
이 글이 아무 근거 없이 그냥 찍는 방법에 대한 글은 아닙니다.
이 글을 읽고 나서 절대 까먹지 말아야 할 것은?
<보기> 문제는 내용일치 선에서 정리된다.
"저건 너무 간 거 아니야?" 같은 생각을 들게 만드는 과해석도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다.
<보기>가 다소 이해되지 않아도 정답을 찾아낼 수 있다. (더 나아가 <보기>를 읽지 않을 수도 있다.)
항상 글 잘 보고 있다는 말씀들에 보람을 느낍니다.
더 좋은 칼럼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의머의 이륙허가는 너무 귀하네요..
어느 정도 실력이 완성된 사람은 보기 문제의 선지를 5번 부터 봐야하는 이유가 뭔가요?
답이 그쪽에 있을 확률이 높아서??
그렇죠. 대체로 평가원은 끝까지 선지를 다 보기 원할 테고, 실제로 그런지 아닌지는 모르지만 정답이 후반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완성되지 않은 사람의 경우 어차피 5번부터 보더라도 1~5번을 다 보게 될 거기 때문에,
효과는 없고 오히려 혼동을 줄 수 있습니다.
커풀화1님도 잘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부터 봐주시는 분인 거 알아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아침에 첫번째 칼럼 보고 긍정 부정 따져보며 풀었더니 방금 문학 현대시 빼고 다 맞았습니다. ㅎㅅㅎ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 그리고 혹시 과해석에 관해 질문 하나 하고싶은데, '죄책감' 같이 특정한 감정에선 과해석을 의심해볼 수 있다 하는 종류의 선지들이 있나요?? 예를 들어, '~를 통해 자만심을 드러낸다' 라고 되어있다면 자만심은 과해석으로 의심해볼만 하다 이런 식으로요 !
제가 들었던 말 중에 최고로 보람찬 말이네요 감사합니다:)
과해석으로 의심해볼 만한 선지에 관해서는 정리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