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독해] 절대로 놓쳐서는 안될 독해를 위한 세 가지 기본 개념 (3) - Organization
게시글 주소: https://old.orbi.kr/00058214132
여러 분이 하나의 문단을 구성하는 글을 쓴다고 가정해보죠. 어떤 내용을 담으시겠어요? 먼저 문단이 전달할 내용과 관련하여 문단의 존재 이유, 혹은 여러분이 해당 문단을 작성하는 목적이 먼저 결정 되어야겠죠.
문단의 목적이 결정 되었다면, 목적 달성을 위해서 제시해야 할 정보나 구체적인 내용이 결정 되어야 할 텐데, 글을 쓴 목적이 분명하다면,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자, 이제 한 가지를 더 생각해야 합니다. 어떤 흐름으로 내용을 제시하겠어요? 글 쓰기 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내용을 제시하도록 권고 하고 있습니다.
[1] 해당 문단을 구성한 글쓴이의 의도/목적을 먼저 밝히세요.
[2]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시해야 할 구체적인 정보를 논리적인 흐름에 맞추어서 제시하세요.
[3] 필요하다면 문단에서 이야기한 내용을 정리해서 제시하거나, 주장을 펴는 문단이었다면 주장의 결론을 내려주세요.
굳이 위와 같은 순서로 내용 구성을 권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독자가 쉽게 따라올 수 있는 내용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여러분이 독해 지문으로 보는 한 문단의 글은 “글 쓰기” 책에서 제시한 방법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 내용 구성(organization)을 보여줍니다(너무나 자유로운 형식으로 서술된 소설류의 글은 위와 같은 틀에서 예외라고 생각하세요).
문단은 내용상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 됩니다.
[1] topic sentence
[2] supporting details
[3] conclusion or summary
가장 중요한 부분은 topic sentence와 supporting details 부분입니다. 글 쓰기에서 권하는 문단의 내용 구성 방식을 여러분의 읽고 이해하기에 적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글 읽기”를 수행하라고 권유 할 수 있겠네요.
[1] 문단(지문)의 첫 문장에서 최대한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해내세요.
[2] 두 번째 문장부터 파악된 의도가 구체화 되는 방식과 정보에 주목 하면서 읽으세요. 글에 대한 집중도도 높아질 뿐만 아니라, 두 번째 문장부터 제시되는 정보를 이해하는 방향을 놓치지 않고 잡아갈 수 있습니다.
[3] 마지막 문장에서 문단의 이전까지 제시 되었던 내용이 요약 되거나 혹은 주장에 대한 결론이 있는가를 판단하세요. conclusion 혹은 summary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Scientists use paradigms rather than believing them. The use of a paradigm in research typically addresses related problems by employing shared concepts, symbolic __EXPRESSION__s, experimental and mathematical tools and procedures, and even some of the same theoretical statements. Scientists need only understand how to use these various elements in ways that others would accept. These elements of shared practice thus need not presuppose any comparable unity in scientists’ beliefs about what they are doing when they use them. Indeed, one role of a paradigm is to enable scientists to work successfully without having to provide a detailed account of what they are doing or what they believe about it. Thomas Kuhn noted that scientists “can agree in their identification of a paradigm without agreeing on, or even attempting to produce, a full interpretation or rationalization of it. Lack of a standard interpretation or of an agreed reduction to rules will not prevent a paradigm from guiding research.” [2022 학년도 수능 영어 23 번]
topic sentence를 바탕으로 위 지문은 과학자들의 paradigms를 사용 한다는 사실과 관련해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할 것(글쓴이의 의도)이라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특히 use를 italicized 해서 강조하고 있네요). 또 한, 과학자들이 사용하는 paradigm이라는 것이 무엇이지도 궁금한데, 당연히 관련 정보도 제시할 것으로 기대 됩니다. 이 정도의 내용만으로도 문단에서 제시할 내용의 윤곽은 잡은 셈이고, supporting details 부분을 읽어 가면서 그 궁금증을 풀고, 글쓴이의 의도를 구체화 하는 것이 여러분이 글을 읽는 목적이 될 것입니다.
예를 하나 더 살펴볼까요? 2022 학년도 수능 영어 24 번 문제의 지문입니다.
Mending and restoring objects often require even more creativity than original production. The preindustrial blacksmith made things to order for people in his immediate community; customizing the product, modifying or transforming it according to the user, was routine. Customers would bring things back if something went wrong; repair was thus an extension of fabrication. With industrialization and eventually with mass production, making things became the province of machine tenders with limited knowledge. But repair continued to require a larger grasp of design and materials, an understanding of the whole and a comprehension of the designer’s intentions. “Manufacturers all work by machinery or by vast subdivision of labour and not, so to speak, by hand,” an 1896 Manual of Mending and Repairing explained. “But all repairing must be done by hand. We can make every detail of a watch or of a gun by machinery, but the machine cannot mend it when broken, much less a clock or a pistol!”
여러분이 topic sentence를 통해서 파악한 글쓴이의 의도는 무엇인가요? 너무 명확하게 제시되고 있는데요. topic sentence는 물건을 처음 만들 때보다 해당 물건을 수리하거나 복원하는 것은 훨씬 더 창조적인 작업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가치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다면 서슴지 말고 글쓴이가 “주장”하고 있다고 판단해도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왜 그런 주장을 하는지 궁금증이 느껴지지 않으세요? 지문의 나머지 부분에서 그 이유를 설명할 것 같습니다. 파악한 글쓴이의 의도 관점에서 두 번째 문장부터 읽어 가면서 확인해보세요. 이전과 읽기가 달라졌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100 원 걸겠습니다!
이해 방향을 결정 하면서, 글쓴이가 제시한 구체적인 내용 혹은 정보를 가장 잘 담아 내면서 읽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organization의 활용을 적극 추천합니다. 아니, 추천 정도가 아니라, organization을 바탕으로 지문을 읽는 방식을 여러분의 읽기 습관으로 만드세요. 독해 실력이 눈에 띄게 향상 될 것입니다.
독해학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쫄린다쫄려
-
힘을 다쓴 꺾마는 자기꺼 분석할 힘이 없어서 누워있다고한다
-
물2로 도망감요...
-
가천한 2
올해 가천한 빵 보단 폭날 확률이 훨씬 크다고 보시나요? 작년에 펑크가 유독 심하게...
-
1.05 이정돈 되어야 하나
-
공부비중 0
국어2 수학3 영어0 탐구5 근데 국어를 다른과목에비해 압도적으로 잘봄
-
어쩌다 스토리만 3시간 밀엇네 역시재밋당
-
설학부 슬슬 1
높공에서 쫄튀해서 오는사람 많아지네요
-
표본분석 해봤는데 꼬라지가 말이아니길래
-
성대 가군은 사람이 적고.. . 나군은 사람이 많고 5
그렇다면 가군 빵, 나군 폭발? 혹은 원서 접수 마지막 날 진학사의 농간으로 가군...
-
대학vs학과 8
연대 컴퓨터 vs 설대 조선해양공 둘다붙으면 ㅇㄷ감
-
신칸센 타고싶음 10
사실 신칸센보다 신칸센에서 도시락을 먹고싶음
-
공대는 가고 싶은데 건설환경은 전망이랑 미래가 없다해서 걱정이네요 ㅠ 나라가 통일이...
-
50명 넘게 뽑는 과인데 합격예상등수를 20몇등까지밖에 안주네요...? 진학사를...
-
서류제출(해당자) 는 뭔 서류를 제출하는건가요? 교과평가 관련 생기부 제출인가요?...
-
표본 과하게 많거나 적은데 막팍에 대부분 정상화 되나요? 원서 첨이라 모르겠네여
-
이번에 이월이 유독 늦게 떠서 좀 그런 감이 있네요 하루 정도는 더 있어야할지도...
-
표본 분석할 때 수시 붙었다 생각하고 빼고 세는거 ㄱㅊ?
-
설자전 vs 설전정 10
원래 컴공 생각 중이었는데 제 성적(407)으론 좀 위험한 것 같아서 서울대는...
-
이러다가 우리 다 죽어 이제 들어와제발
-
가군에 5명 뽑는 9칸 극소수과를 쓸지 28명 뽑는 8칸 학과를 쓸지 고민중인데…...
-
평생소원 8
고양이 수인이랑 결혼하는게 목표임
-
고민 상담 해드림 226
원서 진로 공부 아무거나
-
현재 지구 1컷정도 대가리 지구 1컷 유지 vs 경제or정법 1컷 만들기(아예...
-
과탐봐서 교차로 문과 넣는거에 이득이 얼마정도 있을까요..? ex)점수 계산할 때...
-
서울대 지균은 AA도 더 짜게 주나요?
-
점수 ㅈㄴ게들 남겨쓰시네 이게 대깨설+대깨학과?
-
이월됐는데 0
왜칸수는그대로
-
[AI 세특 작성]세특 작성 노하우 4 - 내실 있는 세특을 위한 수업&평가 방법 0
앞서 세 차례에 걸쳐 세특의 중요성과 작성 원칙, 실전 요령에 대해 함께...
-
연대 문과 폭 13
연대 인문 폭 가능성 있다고 보시나요? 원서접수 전날 컷 내려가는건 폭 징조라고...
-
내일부터 원서 접수인데 아직도 표본 부족이면 뭐 어떻게 하라는 거지
-
모 과 갑자기 왕창 들어오면서 컷 +1.7점된게 개웃기네 16
모의지원이었으니 망정이지 실지원때 옮겨 다니다가 이런 거 걸리면 망하는 거에요...
-
2024도 내일이면 마무리네요 비행기사고 관련해서 그들이 계획하고 기대한...
-
빵이다!!!!하면서 사람들 몰리라나
-
원랜 적정표본수가 35명이였는데 계속 안들어오니까 30명으로 줄었네
-
정시로 14명 뽑음 5일넘게 실제지원자 중 1등인데 이건 최최최악의 경우로 폭나도 붙겠죠…?
-
요즘 볼만한 거 머있지
-
궁금
-
다들 가시나요?
-
ㅡㅡ
-
흠
-
서울대 공과대학 광역 서울대 학부대학 서울대 첨융 중에 고민중이고 공대 광역은...
-
다른데서 글 퍼나르고 좋니 안좋니 래파토리마저 다 똑같네요.. 어차피 판단은 본인이...
-
고1 이고 3,6,9,10 국어 1112 나왔는데 계속 감으로 푸는느낌이고 시간도...
-
과대불안증있어서 그냥 마음편하게 간다
-
ㅡㅡ
-
나중에 폭날수도 있음?? 분명 저번주까진 많이 찼었는데 우르르 다 빠짐.. 아님 걍 펑크나려남
-
투과목 ㅋㅋㅋ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이런 방식을 기르기 위해서는 그냥 다른거 필요없이 평가원 문장으로 연습하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독해학교입니다. 기출 지문도 좋겠구요. 어떤 지문이든 한 개의 문단(paragraph)을 대상으로 삼는다면 연습이 가능할 것입니다. 다만, 소설류(fictional narrative) 보다는 수능 영어 독해 지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non-fictional narrative나 non-narrative 종류의 글이 organization을 더 엄격하게 지키니 그러한 글의 종류를 연습 대상으로 고려 한다면 더욱 효과 높은 연습을 할 수 있겠네요.
첫문장이 중요하네요 근데 잘 해석이 안되서 슬푸네여
안녕하세요? 독해학교의 Eddie입니다. 해석은 독해 능력의 기본입니다. 사실 문법 학습 시기부터 해석을 염두에 두고 학습이 되어야 하는데, 그 때를 놓치게 되고, 시간이 지나서 본격적으로 독해 들어갈 때 해석의 본질에 관해서 고민하게 되는 실수를 흔하게 범합니다. 그래도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 배달의 민족 아니겠습니까? 몇 가지 해석의 핵심을 집는 내용을 추려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힘내시고 화이팅하세요. 계속 두드리면 문이 열리거나 문이 부서지거나 합니다. 결국 문에 가려진 답답함은 사라진다는 이야기입니다. 계속 두드리세요.
계속 knock knock 하겠습니다!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