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기출 분석을 하는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ld.orbi.kr/00061048939
글이 좀 길고 복잡할 수도 있지만,
틀림없이 여러분께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이전 글의 내용을 기반으로 전개되는 글이다보니
그 내용을 알고 이 글을 읽으시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아마 글은 독서에 초점을 맞춰 작성될 거예요.
문학도 비슷한 맥락으로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국어 기출 분석의 핵심은 다음 2가지라고 생각합니다.
1. 국어 기출 분석은 귀납적인 과정
2. 핵심은 '행위'가 아닌 '사고'
각 내용에 대해 설명드린 후, 마지막에 사례를 덧붙이도록 하겠습니다.
1. 국어 기출 분석은 귀납적인 과정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내용은 아니지만,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할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적절한 표현인지는 모르겠으나 국어 기출 분석은 귀납적인 과정입니다.
이전 게시글에서 기출 분석이 필요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드렸습니다.
1. 평가원의 사고 방식과 표현을 배우기 위해
2. 평가원이 우리에게 묻는 건 정해져 있기 때문
3. 글의 구조와 문장의 역할도 정해져 있기 때문
이 명제들을 베이스로 하면 수능 국어를 이렇게 도식화할 수 있습니다.
-> 지문1, 지문2, 지문3, ...
평가원 -> 문장1, 문장2, 문장3, ...
-> 문제1, 선지1, 선지2, ...
...
평가원으로부터 '지문', '문장', '문제', 선지'라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요소들이 생산되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이 생산은 아무렇게나, 출제하시는 분들 마음대로 마구잡이로 이뤄지지 않죠.
우리가 흔히 말하는 '평가원의 논리'에 입각하여 생산됩니다.
이 '평가원의 논리'를 습득한다면 시험 당일 어떤 지문이 나오더라도
평가원의 출제 의도에 맞게,
평가원의 표현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평가원이 원하는 방향에서 글을 읽을 수 있겠죠.
그럼 '평가원의 논리'는 어떻게 습득해야 할까요?
반대로 하면 됩니다.
지문1, 지문2, 지문3, ... ->
문장1, 문장2, 문장3, ... -> 평가원
문제1, 선지1, 선지2, ... ->
평가원이 그동안 우리에게 제공했던
지문, 문장, 문제, 선지를 단서로 삼아
역으로 평가원에게 다가가야 합니다.
기출이 곧 평가원의 논리를 습득하는 단서라는 뜻입니다.
평가원은 이런 식으로 지문을 구성하는구나.
평가원은 이런 이유로 이 문장을 배치했구나.
평가원은 이런 포인트를 문제에서 묻는구나.
평가원은 이런 내용을 활용해서 선지를 만드는구나.
이 모든 것들이 기출에 녹아 있습니다.
물론 완전히 일치할 수는 없겠죠.
하지만 우리가 더 많은 지문과 문장을 읽고,
더 많은 문제를 풀고 더 많은 선지를 분석할수록
평가원의 논리에 근접할 수 있을 겁니다.
2. 핵심은 '행위'가 아닌 '사고'
여긴 좀 더 실전적이고 방법론에 가까운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기출을 분석하는 방법은 이런 것들일 겁니다.
지문의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고
각 문단의 중심 내용을 정리한 뒤 구조도를 그리고
선지의 정오와 상관없이 그 근거를 찾고
위 과정을 반복하며 기출 회독
그러고는 묻습니다.
"기출 분석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
결론만 말씀드리면 그렇게 하는 게 맞습니다.
하지만 핵심은 '행위'가 아닌 '사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부한 흔적만 보고는
이 사람이 기출을 제대로 분석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위에 나열된 행위들을 하면서 여러분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가 중요해요.
기출 문제집에 있는 지문은 수능에서 다시 안 나오니까요.
기출을 분석하라는 것은
그 지문을 반복해서 읽고 그 내용을 100% 이해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지문의 유형, 글의 전개 방식, 논리 전개 흐름, 문장의 역할들.
그리고 그것들을 문제와 선지에 어떻게 녹여내는지를 생각하고 분석하라는 의미입니다.
다르게 말하면,
평가원이 이 지문을 어떤 구조로 구성했고
각각의 문장들을 어떠한 의도로 배치했으며
지문의 어떤 내용에 기반해서 문제를 출제했고
어떤 포인트를 활용하여 선지를 만들었는지
평가원의 입장을 헤아려보라는 뜻입니다.
지문 전체가 어떤 방식으로 내용을 전개하며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지를,
문장 하나하나의 역할이 뭔지, 각 문장이 어떻게 기능하며 어떤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지를,
지문 내용과 선지 구성 사이의 논리와 흐름을 이해하려고 해야 합니다.
(물론 이런 사고가 이뤄지려면 지문 내용에 대한 이해는 기본이겠죠.)
이런 것들을 귀납적으로 익히는 게 기출 분석입니다.
그냥 단순히
"이 지문은 이런 내용이구나"
"이 선지는 이래서 맞고 저 선지는 저래서 틀린 거구나"
이런 '행위'는 의미가 없습니다.
부디 올바른 '사고'를 하시기 바랍니다.
사례
사례 1 : A에 대해 설명하고 A를 b와 c로 분류하여 각각에 대한 설명을 덧붙인 지문
-> 이 지문에서는 A의 특징을 설명한 뒤 A를 b와 c로 분류하고, b와 c 각각의 특징을 다시 자세히 설명하고 있구나.
-> 그리고 b와 c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문제를 출제하네.
-> 어, 근데 이때 A의 특징을 끌어와서 선지를 구성하기도 하네?
-> b와 c는 모두 A의 하위 항목이니까 둘 다 A의 특징을 당연히 가지고 있다는 걸 잊지 말아야겠다.
이런 사고 과정을 거치며 기출 분석을 진행했다면,
다른 지문에서 유사한 구조를 발견했을 때
여러분의 머릿속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고가 가능해집니다.
이 지문에서는 ㄱ에 대해 설명한 뒤 ㄱ을 ㄴ과 ㄷ으로 분류하여 상술하고 있구나.
1) ㄴ과 ㄷ을 비교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음을 인지
2) ㄴ과 ㄷ에 대한 정보를 공통점과 차이점 중심으로 정리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
3) ㄴ과 ㄷ은 공통적으로 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식적으로 생각하고,
이것이 문제의 선지로 출제될 수 있음을 인지
사례 2 : 특정 대상에 대한 전통적인 이론 A와 새로운 이론 B에 대한 지문
-> 이 지문에서는 ㅇㅇ에 대한 전통적인 이론 A에 대해 설명하고, 이것과는 좀 다른 B라는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있구나.
-> 그리고 A와 B의 관계에 대한 문제,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문제를 출제하는구나.
-> '전통적인' 또는 '일반적으로' 같은 표현이 등장하면 뒤에서 다른 대상을 소개할 가능성이 높다는 걸 기억하자.
-> 그런 경우 뒤에 나오는 대상이 지문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 같네.
최소한 이 정도 생각을 의식적으로 하며 공부했다면,
유사한 구조의 지문을 만났을 때 이런 사고가 이뤄질 겁니다.
1) '전통적인' 것과는 다른 새로운 대상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인지
2) 전통적인 ㄱ과 새로운 ㄴ이 등장한다면 둘의 관계에 대한 선지가 출제될 수 있다는 걸 인지
ex. ㄱ을 완전히 부정하고 ㄴ이 등장 / 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ㄴ이 등장 / ㄱ에 기반하여 더욱 확장시킨 결과가 ㄴ 등
3) ㄱ과 ㄴ에 대한 정보를 공통점과 차이점 중심으로 정리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
4) 꽤 많은 경우, '전통적'이고 '일반적'인 것보다는 나중에 소개되는 ㄴ이 지문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크다는 것을 인지
사례 3 : 어떤 결과 A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b, c 각각의 변화에 따른 A의 변화에 대한 지문
-> 이 지문에서는 A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b, c를 소개한 뒤 각각의 변화에 따라 A가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고 있구나.
-> b가 증가하면 A도 증가하고, c가 증가하면 A는 감소하는구나.
-> 지문에서 구체적 사례를 제시했었는데, 문제에서는 이걸 숫자만 바꿔서 다시 물어보네.
-> 이때 b, c 이외에 A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활용해서 선지를 구성하기도 하네.
-> 이런 지문에서는 b와 c가 각각 어떻게 A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 다른 요인은 없는지, b와 c의 관계는 어떤지를 잘 살펴야겠다.
그럼 이제 여러분은 유사한 구조의 지문을 읽으며,
1) 어떤 결과 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ㄴ, ㄷ 각각의 특징은 물론 서로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해야 함을 인지
2) ㄴ이 변화하면 ㄱ과 ㄷ은 어떻게 변하는지,
ㄷ이 변화하면 ㄱ과 ㄴ은 어떻게 변하는지,
ㄴ과 ㄷ이 변하지 않으면 ㄱ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지,
ㄱ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변수(ㄴ, ㄷ)'와 '결과(ㄱ)'를 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경우의 수들을 인지
이런 사고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독서 지문의 유형은 이것보다 아주 조금 더 다양합니다만
글이 너무 길어지는 건 별로일 것 같아서 세 가지 사례만 소개하겠습니다.
위 사례들처럼, 기출 분석은 다음과 같은 사고 과정을 거쳐 이뤄져야 합니다.
1) 기출 지문을 분석하며 지문의 구조를 파악 (지문 분류)
2) 해당 구조의 지문에서는 어떤 문제가 출제될 수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선지를 구성하는지 파악
3) 이와 유사한 구조의 지문을 읽을 때 행동 강령 수립
4) 실제로 유사한 구조의 지문이 나오면 적용 및 연습
공부를 좀 하신 분들이라면
이항대립, 원인/결과, 비교/대조, 문제/해결, 분류
이런 단어들을 들어보셨을 거예요.
이런 용어들도 모두 수많은 기출 지문들을 분석하고
그 구조를 파악해서 유형화한 결과입니다.
나름 최대한 간결하게 작성하려 했는데
기출 분석이 워낙 중요한 과정이다 보니 의도치 않게 길어졌네요.
또 나름 최대한 명확하게 전달하려 했는데
여러분께 제대로 전달되었을지 걱정입니다.
부디 올바른 방향으로 학습하시기 바라며,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 있거나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편하게 질문해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썰 많이들음…ㅋㅋ
-
내 품번리스트 2025 리뉴얼 공개할뻔했네;;;;%%%
-
초등학교때 인기 ㅈㄴ 많았다는데 떡잎이 다르긴함 아이돌은
-
우리에게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 세대에 대한 도덕적 의무가 있는가? 여기서...
-
계속 비슷한글 싸는데 음지로 꺼졋 ! ㅋㅋ
-
일진 선배들이 싸가지 없다고 개싫어햇음 오히려 호감
-
모르는 사람 없을 정도로 유명한 그룹임 난 다른 초중 나왔긴 했는데 동창들...
-
같은 학교,학원다니는 애랑 학원가다가 주머니에 10원 동전 있는거 10원이면...
-
@sushimingham
-
https://xurl.es/4stnb
-
이분 잘생김? 4
ㅇㅇ
-
잇올+단과로 생각중인데 단과는 수학만 할 예정입니다 단과는 어디가좋나요..??...
-
Midv -032 16
야밤의 품번추천
-
그럼 임시공휴일날 무시하고 그냥 발표하려나?
-
아직 구글에 몇개 있네 ㄷ 오늘은 이거닷!
-
한석원의 1
-
지우햄 홍자전 0
붙었으면 좋겠네..
-
지우가누구에요 3
?
-
자야징 7
ㅂ.ㅂ
-
4년?만인가 교사경+n제라 다들 양치기용으로 썼는데
-
ㅇㅇ?
-
10살때 일이었습니다. 피아노 학원 가기전에 아파트 단지에서 같이 놀던 여자애들이...
-
얼버기 8
갓생 8일차.
-
왜안주무시나용 3
곧해가뜨는데
-
고대 통계 1
662는 가망 없을까요
-
與 "민주, 카톡 검열로 사상 통제"…野 "검열 아닌 가짜뉴스 대응" 6
與특위 '나도 고발해줘' 캠페인…전용기 "여당이 불법행위 부추겨" (서울=연합뉴스)...
-
재수준비하면 이제 못봐ㅜ
-
첫사랑 썰 풀까 2
재미없긴한데
-
울샤르 돌려내
-
그러면 만백 91정도 나왔을거같은데 차라리 ㄱ,랬으면 좋았을듯
-
훠훠
-
ㅇㅂㄱ... 0
딱 이 상태임
-
샤머니즘 ㅋㅋㅋㅋㅋㅋㅋ (샤 머니 줌) 엌ㅋㅋㅋㅋㅋㅋㅋㅋ
-
마지막 업데이트 기준 6칸 최초합이었음 근데 진학사 지원 안하고 원서만 넣은사람 좀되는듯
-
뒷북이긴 한데 7
헬스터디라는 사례를 보고도 공부 한애들중에 10퍼가 의대라는말이 나오나 헬스터디,...
-
작년에도 그랬음 남들은 너 내신에 안된다던 연대 학종 1차를 붙고, 면접도...
-
쵸비 4
쵸비랑사귀고싶음
-
Ag 6
Gays
-
난잘먹고잘살기에~~
-
카톡계엄하면 5
dm하면 되지 dm도 계엄하면 텔레그램이 국민메신저가 되는 상황이 올지도
-
https://xurl.es/4stnb
-
진학사 점공 제 위 표본 1순위 지망은 안빠지는건가요? 0
70명 뽑는데 제 위 표본중 46명이 1순위 지망입니다.. 그러면 46명은 절대로...
-
지면 알지? 4
이겨라 아스날.
-
부엉부엉 1
부엉
-
상남자식 축구 2
'승부차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