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어지다 싫어지다는 본용언 보조용언 구성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ld.orbi.kr/00064811904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옛날에 강남인강 들으려고 1년권 끊고 풍산자 미적 기하 교재도 사뒀는데 지금 둘다...
게시글 주소: https://old.orbi.kr/00064811904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옛날에 강남인강 들으려고 1년권 끊고 풍산자 미적 기하 교재도 사뒀는데 지금 둘다...
본용언 보조용언 구성이 한 단어로 굳어진 경우입니다. 통사적 합성어로 처리합니다.
피동접사 아닌가
헐ㄹ
다른뜻이구나
현재 '지다'는 접사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접사라면 앞에 어근이 와야 하는데 연결어미 '-아/어'가 오는 것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피동접사 아지다,어지다 랑은 다른 말인거죠?
애초에 피동접사 '-어지다'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보조용언 '지다'의 쓰임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서 "반대로 아래와 같이 ‘-아/-어 지다’와 ‘-아/-어 하다’가 붙는 경우는 보조 용언을 앞말에 붙여 쓴다. ‘지다’와 ‘하다’ 둘 다 보조 용언으로 다루어지기는 하나, ‘-아/-어 지다’가 붙어서 타동사나 형용사가 자동사처럼 쓰이고 ‘-아/-어 하다’가 붙어서 형용사가 타동사처럼 쓰인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붙여 쓴다."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적어도 고교 과정 내에서 '지다'는 보조용언이지, 접미사가 아닙니다.
'지다'를 이용한 표현이 파생적 피동이 아니라 통사적 피동으로 다뤄지는 점을 고려하시면 되겠습니다.
아.. 그게 통사적 피동인데
파생적 피동이라고 착각해서
피동접사는 이히리기 인데 잘못 생각한 것 같아여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