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없녀 [1288057] · MS 2023 · 쪽지

2024-05-13 19:03:45
조회수 1,173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ld.orbi.kr/00068067809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가없녀 · 1288057 · 05/13 19:07 · MS 2023

    제발 알려주세요......

  • 나희도 · 1254267 · 05/13 19:08 · MS 2023

    현장에서 공백 자체가 없다고 생각해서 걸렀는데

  • 가없녀 · 1288057 · 05/13 19:08 · MS 2023

    사상적 공백이 뭘 말하는 걸까요..??

  • 가없녀 · 1288057 · 05/13 19:09 · MS 2023

    사상이 없다는 거임?? 사상이 있는데 부족함이 많다는 거??

  • 나희도 · 1254267 · 05/13 19:10 · MS 2023

    아무것도 없이 비어 있음 <- 이게 뜻임

  • 가없녀 · 1288057 · 05/13 19:11 · MS 2023

    흠... 그러면 왜 "사상적 공백"이라는 말을 꺼낸 걸까요??? 애초에 이상한 거 아니에요?

  • 이론상가능의악마 · 1308035 · 05/13 19:17 · MS 2024

    전 육가는 차치하고 고려는 걍 불교가 통치사상이었으니까 사상을 비판할지언정 벼있진 않았다치고 넘어갔었음 "불교 사상의 폐단..." 이 있으니까요

  • 이론상가능의악마 · 1308035 · 05/13 19:20 · MS 2024

    육가는 아마 사상통제랑 사상없음은 다르다는걸로 걸러야할거같은디 몰?루

  • 가없녀 · 1288057 · 05/15 00:25 · MS 2023

    ㅠㅠ 감사합니다

  • 어쩌다 고대 · 1233403 · 05/13 19:29 · MS 2023

    선지의 핵심은 사상적 공백이 있느냐 없느냐가 아니라 유교에 따른 통치를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심멘해설)

  • 가없녀 · 1288057 · 05/15 00:25 · MS 2023

    이거 읽고 나니까 뭔가 저 문장이 다르게 느껴지네요.. 감사합니당

  • 남윤 · 985038 · 05/13 21:56 · MS 2020

    앞서 말씀하셨는데, 해당 문제의 핵심은 '목적'입니다. '사상적 공백을 채우기 위해'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 게 아닙니다. 다시 말해서,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 목적이 '사상적 공백을 채우기 위함'이 아닙니다.

    해당 문제는 실제로 시험 이후에 '사상적 공백'과 관련하여 강사와 해설지마다 해설이 달랐던 문제이긴 합니다. (물론, 그것과 관계없이 목적 관계가 틀렸다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공통 : (나) 지문에는 사상적 공백이 없다고 볼 수 있음

    1) (가) 지문에 사상적 공백이 없다는 입장
    (가)의 2문단에 따르면, 육가는 '인의의 실현을 위해' 유교 이념과 현실 정치의 결합을 시도하였다고 나와 있습니다. 즉, '사상적 공백을 채우기 위해'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 것이 아닙니다. 또한, (나)의 4문단에 따르면, 새 국가의 토대를 마련하려는 의도가 전제되었다는 내용과 함께 편찬자들은 [유교적 시각에서] 고려 정치를 바라보며 불교 사상의 폐단을 비롯한 문제점들을 드러냈고, 이를 통해 유교적 사회로의 변화를 주장하였다고 나와 있습니다. 즉, '옛 국가에서 드러난 사상적 폐단을 비판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 것이지, '사상적 공백을 채우기 위해'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 것이 아닙니다.

    2) (가) 지문에 사상적 공백이 있다는 입장
    (가)의 1문단에 따르면, 진은 분서갱유를 단행하며 사상 통제를 꾀했다고 나와 있습니다. 이를 '사상적 공백'에 대응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진의 멸망 원인이 사상을 통제(=사상적 공백)하고 법가 제도를 지나치게 강조한 데 있다고 본 육가는 새 국가의 군주인 한 고조에게 지식과 학문(=사상)의 중요함을 설득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유교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왕도 정치를 제안했다고 본 것이죠.

    물론... 법가 사상 자체가 하나의 사상이기 때문에 이를 사상적 공백이 있다고 볼 수 있는가? 자체도 논의 대상이었으며, 국가를 제대로 통치할 수 있는 사상이 없기 때문에 이를 사상적 공백으로 볼 수 있지 않느냐 등의 주장도 있었습니다.

    어찌됐든 해당 문제의 핵심은 '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가없녀 · 1288057 · 05/15 00:26 · MS 2023

    아... 진짜 감사합니다 다 읽었어요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