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분 [929578] · MS 2019 · 쪽지

2020-01-12 18:06:05
조회수 2,282

오답률 1위 인문학 관련 지문 (2)

게시글 주소: https://old.orbi.kr/00026816666

인문학적 소양이 수능 킬러 문항을 풀 때 어떤 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두 번째 사례로 순서 배열 유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제목의 일관성 때문에 오답률 1위 인문학 관련 지문이라고 되어 있지만 순서 배열 문제는 오답률 1위는 없는 것 같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37번 문제이고 EBS 기준 정답률 27.4%(오답률 4)였습니다. 기출인문학 영어 특강교재에 4번 지문으로 수록되어 있습니다.

 


심리학과 인지 과학에서 많이 나오는 개념인 schema(도식)에 관한 글인데 schema 또는 schematic knowledge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기 때문에 사전에 알고 있다면 편하게 풀 수 있는 문제였는데정답률이 매우 낮게 나왔습니다.

 


schema(도식)는 축적된 경험을 통해 기억 속에 저장된 지식이 조직화되는 과정을 거쳐 고정된 사고의 틀을 말하는 데도식의 긍정적인 측면은 기존의 도식을 기준으로 새로운 정보를 쉽고 빠르게 처리하고 판단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부정적인 측면은 새로운 정보를 도식이라는 고정된 틀에 맞추어 일반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천편일률적일 수 있어서도식이 편견이나 고정관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그렇기 때문에 도식이 새로운 정보의 정확한 해석을 오히려 방해하거나 왜곡할 수 있으며심한 경우 정보를 날조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사람들은 자신의 도식에 맞는 정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도식에 맞지 않는 정보는 배제해 버리거나 도식에 맞게 왜곡하기도 하고 때로는 없는 정보를 추가해 도식에 맞추어버리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Clearly, schematic knowledge helps youguiding your understanding and enabling you to reconstruct things you cannot remember.


(A) Likewise, if there are things you can’t recall, your schemata will fill in the gaps with knowledge about what’s typical in that situation. As a result, a reliance on schemata will inevitably make the world seem more “normal” than it really is and will make the past seem more “regular” than it actually was.

(B) Any reliance on schematic knowledge, therefore, will be shaped by this information about what’s “normal.” Thus, if there are things you don’t notice while viewing a situation or event, your schemata will lead you to fill in these “gaps” with knowledge about what’s normally in place in that setting.

(C) But schematic knowledge can also hurt you, promoting errors in perception and memory. Moreover, the types of errors produced by schemata are quite predictable: Bear in mind that schemata summarize the broad pattern of your experience, and so they tell you, in essence, what’s typical or ordinary in a given situation.

*schemata 선험적 도식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다음은 EBS의 번역입니다크게 흠잡을 데 없는 잘된 번역입니다.

 


Clearly, schematic knowledge helps youguiding your understanding and enabling you to reconstruct things you cannot remember.

분명히도식적인 지식은 여러분의 이해를 이끌어주고 기억할 수 없는 것들을 재구성하게 하여 여러분에게 도움을 준다.

   


(A) Likewise, if there are things you can’t recall, your schemata will fill in the gaps with knowledge about what’s typical in that situation. As a result, a reliance on schemata will inevitably make the world seem more “normal” than it really is and will make the past seem more “regular” than it actually was.

마찬가지로여러분이 기억할 수 없는 것이 있으면여러분의 도식이 그 공백을 그 상황에서 어떤 것이 일반적인 것인지에 대한 지식으로 채워 줄 것이다결과적으로도식에 의존하는 것은 불가피하게 세상을 실제보다 더 정상적인’ 것으로 보이게 할 것이고과거를 실제보다 더 규칙적인’ 것으로 보이게 할 것이다.

   


(B) Any reliance on schematic knowledge, therefore, will be shaped by this information about what’s “normal.” Thus, if there are things you don’t notice while viewing a situation or event, your schemata will lead you to fill in these “gaps” with knowledge about what’s normally in place in that setting.

따라서도식에 대한 어떠한 의존이라 하더라도그것은 어떤 것이 정상적인 것인지에 대한 이러한 정보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따라서 어떤 상황이나 사건을 보면서 여러분이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이 있으면여러분의 도식이 그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무엇이 어울리는지에 관한 지식으로 이러한 공백을 채우도록 여러분을 이끌어줄 것이다.

   


(C) But schematic knowledge can also hurt you, promoting errors in perception and memory. Moreover, the types of errors produced by schemata are quite predictable: Bear in mind that schemata summarize the broad pattern of your experience, and so they tell you, in essence, what’s typical or ordinary in a given situation.

하지만 도식적인 지식은 또한 인식과 기억에 오류를 조장하여 여러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게다가도식에 의해서 발생하는 오류의 유형은 상당히 예측 가능하다도식이 여러분의 경험의 광범위한 유형을 요약하며 그래서 그것(도식)이 본질적으로 주어진 상황에서 무엇이 전형적이거나 평범한 것인지 여러분에게 말해 준다는 것을 명심하라.


보통 글의 순서 배열 문제는 연결사(connector)와 지시어(reference)를 중요한 단서로 활용하여 글의 앞 뒤 내용을 예측하고 확인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갑니다이 글에는 (A)에 Likewise, that situation, (B)에 therefore, this information about what’s “normal”, (C)에 But 등 단서가 매우 많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답률이 매우 높습니다이유가 뭘까요?

 


처음에 주어진 글은 도식의 장점에 대한 내용이고, (C)는 ‘But’으로 시작해 도식의 단점에 대한 글이므로글은 전체적으로 도식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따라서 우선 (A)와 (B)가 도식의 장점에 대한 설명인지 단점에 대한 설명인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오답을 선택한 학생들 중에서 약 23.4%가 번의 (B)-(A)-(C)를 선택했습니다. (B)(A)의 순서로 도식의 장점을 추가로 설명하고 있다고 보았다는 것입니다실제로 도식의 개념을 전혀 모르고 있다면 (B)-(A)의 내용이 도식의 장점에 대한 내용인지 단점에 대한 내용인지 알기 어렵습니다.

   


(B) Any reliance on schematic knowledge, therefore, will be shaped by this information about what’s “normal.” Thus, if there are things you don’t notice while viewing a situation or event, your schemata will lead you to fill in these “gaps” with knowledge about what’s normally in place in that setting.

- ‘도식에 의존한 사고는 무엇이 normal인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데놓친 부분이 있을 때 도식이 normal한 것으로 채워버린다는 내용인데이 내용이 좋다는 것인지 나쁘다는 것인지 파악하기가 사실상 어렵습니다.

   


(A) Likewise, if there are things you can’t recall, your schemata will fill in the gaps with knowledge about what’s typical in that situation. As a result, a reliance on schemata will inevitably make the world seem more “normal” than it really is and will make the past seem more “regular” than it actually was.

놓친 부분이 있을 때와 비슷한 경우로 기억나지 않는 것이 있을 때도식이 그 공백을 ‘typical’한 것으로 채워서실제보다 더 ‘normal’하게더 ‘regular’하게 보이게 만든다는 내용인데이것도 좋다는 것인지 나쁘다는 것인지 확신하기 어렵습니다.

도식이 놓친 부분이나 기억나지 않는 부분을 ‘normal’하게 ‘typical’하게 ‘regular’하게 만든다는 것인데이 단어들이 부정적인 어감을 강하게 내포하지 않기 때문에 도식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이 없는 경우 충분히 혼란스러울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주 치밀한 사고력을 갖춘 학생들은 글 (C)에서 중요한 단서를 얻을 수 있기는 했습니다.

   


(C) But schematic knowledge can also hurt you, promoting errors in perception and memory. Moreover, the types of errors produced by schemata are quite predictable: Bear in mind that schemata summarize the broad pattern of your experience, and so they tell you, in essence, what’s typical or ordinary in a given situation.

- ‘그러나’ 다음에 도식의 해로울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으므로 ‘they tell you, in essence, what’s typical or ordinary in a given situation’에서 ‘typical’과 ‘ordinary’가 해로운 부분에 대한 설명이라는 것을 파악한다면이 단어들이 부정적인 의미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글 뒤의 (A)-(C)는 모두 도식의 단점에 대한 설명이고, But이 있는 (C)가 가장 먼저 나오고, (B)-(A)의 순서로 이어지는 것이 가장 타당합니다. (A)의 that situation, (B)의 this information about what’s “normal”이 가리키는 내용은 순서를 잡은 이후에야 파악되기 때문에 문제 해결 과정에서 결정적인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번을 선택한 학생들이 25.5%이나 있었는데, (B)에 있는 연결사 ‘therefore’로 글 전체의 최종적인 결론으로 생각하여 무조건 (B)가 마지막에 와야 한다고 성급하게 판단했기 때문일 것 같습니다.

   


좋은 사례가 될 만한 다른 유형의 문제를 발견하면 다시 글 올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기출 인문학 특강 교재 소개도 한 번 읽어봐 주십시오.

https://orbi.kr/00026752670

   


pdf 교재는 아래 주소에 있습니다.

https://docs.orbi.kr/docs/7072-기출+인문학+영어+특강+advanced+level/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